생활과 건강/건강정보

귓볼몽우리 정체, 증상, 예방법(feat. 귓볼피지낭종)

해보자구 2023. 2. 18. 12:15

귓볼몽우리가 갑자기 손에 잡히거나 느껴져서 걱정되고 불안하신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귓볼몽우리의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귓볼몽우리 썸네일

 

귓볼몽우리 여성 이미지
귓볼몽우리

 1. 귓볼몽우리의 정체

 

일반적으로 전문의들은 갑자기 손에 잡히며, 만져지면서도 신경 쓰이는 귓볼몽우리귓볼피지낭종으로 진단합니다. 단순히 종기의 일종이라면 증상이 완화되면 끝이지만, 완화되었을 시에도 딱딱한 몽우리가 만져지거나 고름과 피지 덩어리가 나온다면 귓볼피지낭종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경우 피부과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고 신속히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우리의 귀는 피지낭종이 잘 생기는 신체 중 하나입니다. 피지낭종은 피부와 매우 비슷한 구조를 가진 피막으로 쌓여있는 양성종양입니다. 이 안에는 피지가 모여 있으며, 이를 꾹 짜게 되면 피지가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때 피막이 파열되어 세균감염이 발생하거나 염증에 의해 붉게 되거나, 부어오르고,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2. 귓볼몽우리 or 귓볼피지낭종이 생기는 이유

 

귓볼피지낭종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크게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생길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피지선 비정상적 성장 : 피지선은 피부 안에 있는 유독 분비물을 생산하는 선으로, 피지선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하여 피지가 모이고 피지선이 팽창되면 귓볼피지낭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 귓볼피지낭종은 유전적인 요인도 영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귓볼피지낭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습진 및 기타 피부염 : 습진,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이나 피부가 건조한 경우, 피부 내부의 피지선이 자극을 받아서 귓볼피지낭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외상 : 귀에 외상을 입게 되거나 귀의 피부손상이 생긴 경우, 손상부위에서 귓볼피지낭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환경 요인 :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청결도와 관련이 있기도 하며,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귓볼피지낭종 발생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3. 귓볼몽우리 or 귓볼피지낭종의 주요 증상

 

귓볼피지낭종은 아래와 같은 증상을 보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증상이 전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귓볼몽우리가 생겼을 때는 꼭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초기에는 귓볼 뒤쪽에 작은 덩어리가 생긴 것을 느끼게 되며, 통증이나 가려움증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몽우리는 대개 작은 크기를 가지며, 지름이 0.5cm~1cm 정도입니다. 가끔씩 조금 더 큰 크기일 수도 있습니다.

· 몽우리가 조금 더 크면, 귀 뒤쪽에서 눌렀을 때 약간의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몽우리가 염증을 일으킬 경우, 가려움증, 붓기, 출혈, 붉음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몽우리가 큰 경우, 주변의 피부가 빨갛게 변할 수 있으며, 염증을 일으키거나 터질 수 있습니다.

 

귓볼피지낭종은 일반적인 종기를 치료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항생제와 소염제를 복용하여 치료합니다. 그리고 필요시에는 안의 고름을 짜야합니다. 이 과정에서 낭종을 둘러싸고 있는 막 성분이 녹게 되어 없어진다면 수술을 하지 않고 완치될 수 있습니다. 혹여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과나 피부과에서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절제술의 경우 보험적용)

 

 

 4. 귓볼몽우리 or 귓볼피지낭종의 예방법

 

귓볼피지낭종은 대개 유전적 요인, 흡연, 피부 손상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에 예방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우리 생활 속에서 실천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금연 : 담배의 연기는 우리 피부의 손상을 유발하고, 이는 피지선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 청결유지 : 귀와 귀 주변이 깨끗해야 합니다. 귀를 긁거나 자주 만지는 등의 습관도 귀 주변에 피지낭종이 생길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액세서리 : 귓볼을 압박하거나 자극할 경우, 피지낭종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니, 너무 끼이는 모자나 헤드폰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영양 균형 : 비타민 A, C, E, 아연 등을 포함한 영양소가 피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양 균형을 유지하면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 귀 주변의 피지선 성장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결론

 

귓볼이 조금 큰 저로써는 이 글을 쓰면서 흠칫했습니다. 하지만 귓볼몽우리가 아닌 귀에 살이 쪄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뿐만 아니라 저도 귓볼몽우리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알게 되어 주변이 비슷한 증상을 겪는 이가 있다면 자세히 알려주고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귀를 청결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건강 관련 글에서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는 금연, 운동, 건강한 식습관 등을 실천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응형